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기준 중위소득 · 생계급여 선정기준 총정리

by 춤추는 애벌레으로 2025. 8. 12.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생계급여 선정기준 총정리

 

2026년부터 달라지는 기준 중위소득생계급여 선정기준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국가장학금, 주거·에너지 지원, 청년 지원금 등 80여 개

복지사업의 수급 기준이 되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목차

  1.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란?
  2. 2026년 중위소득 변화 및 인상률
  3. 2026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4.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선정 기준
  5. 2026년 달라지는 주요 복지제도
  6. 복지 혜택 활용 꿀팁
  7. 마무리 정리

1.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금액을 말합니다.
이 수치는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포함해 14개 부처 80여 개 복지사업에서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최저임금만큼 중요한 복지 지표입니다.

2. 2026년 중위소득 변화 및 인상률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1인 가구는 7.20%, 4인 가구는 6.51% 인상되어 저소득층 지원 폭이 확대됩니다.

  • 1인 가구 : 2,392,013원 → 2,564,238원 (▲7.20%)
  • 4인 가구 : 6,097,773원 → 6,494,738원 (▲6.51%)

3. 2026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단위: 월/원)

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률
1인 2,392,013 2,564,238 +7.20%
2인 3,932,658 4,199,292 +6.78%
3인 5,025,353 5,359,036 +6.63%
4인 6,097,773 6,494,738 +6.51%
5인 7,108,192 7,556,719 +6.31%
6인 8,064,805 8,555,952 +6.09%

4.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선정 기준 (2026년)

복지급여별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

가구원 수 생계급여 (32%) 의료급여 (40%) 주거급여 (48%) 교육급여 (50%)
1인 820,556 1,025,695 1,230,834 1,282,119
2인 1,343,773 1,679,717 2,015,660 2,099,646
3인 1,714,892 2,143,614 2,015,660 2,679,518
4인 2,078,316 2,597,895 3,117,474 3,247,369
5인 2,418,150 3,022,688 3,627,225 3,778,360
6인 2,737,905 3,422,381 4,106,857 4,277,976
 

💡 예시
월 소득이 전혀 없는 4인 가구 → 생계급여 2,078,316원 전액 지원
월 소득이 100만 원인 4인 가구 → 1,078,316원 지원

5. 2026년 달라지는 주요 복지제도

① 청년층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 대상: 29세 이하 → 34세 이하로 확대
  • 공제 금액: **40만 원+30% → 60만 원+30%**로 상향

② 의료급여

  • 외래진료 본인 부담: 의원 1,000원 / 병원·종합병원 1,500원 / 상급종합병원 2,000원 / 약국 500원
  • 연간 외래 365회 초과 시 본인 부담률 30% 적용 (예외 대상 있음)

③ 주거급여

  • 기준 임대료 인상: 가구원·지역별 17,000원~39,000원 인상

④ 교육급여

  • 교육활동지원비 인상: 초 502,000원 / 중 699,000원 / 고 860,000원 (연 1회 지급)

⑤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 대상 확대: 소형·화물차 500만 원 미만, 다자녀 기준 3명→2명 완화

6. 복지 혜택 활용 꿀팁

  • 국가장학금, 행복주택, 에너지 바우처, 청년 도약 계좌 등 다양한 지원사업에서도 동일한 기준을 활용
  • 매년 기준 중위소득 변동을 반드시 확인해야 신규 지원 가능 여부 판단 가능
  • 소득·재산 기준 계산 시 자동차, 금융자산, 부채 포함 여부 꼼꼼히 체크

7. 마무리 정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어,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변화는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 정리 포인트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564,238원
  • 4인 가구 생계급여 선정 기준: 2,078,316원
  • 청년 공제 확대, 주거·교육급여 인상,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적용

👉 내 소득과 재산이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지 꼭 확인하고,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은 빠짐없이 신청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부동산 알림 설정 & 매물 확인법 완벽 정리!

요즘 부동산 관심 많으시죠? 매일매일 좋은 매물, 급매, 저가 매물을 먼저 잡으려면 네이버 부동산 알림 설정은 무조건 필수입니다. 그런데, 설정만 했는데도 알림이 안 온다? 혹은 예전에 떴던

auction-eer.com

 

경기청년 결혼지원사업, 신혼부부 결혼지원금 100만원! 8월부터 신청

결혼을 막 시작한 청년 신혼부부라면 놓치면 안 되는 결혼지원금 100만 원, 2025년 8월부터 경기도에서 총 2,650쌍에게 현금 지급을 시작합니다. ‘경기청년 결혼지원사업’ 신청 자격부터 기간, 방

auction-eer.com

 

2025년 7월부터 어린이집 지원금 인상! 얼마나 오르나요?

2025년 하반기부터 어린이집 지원금이 인상됩니다.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가정이라면 꼭 확인해야할 정보인데요, 정부가 발표한 7월 보육료 인상안을 기준으로 지원 금액, 연령별 차이, 신청

auction-e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