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성년자 근로계약서 제대로 작성하는 법 2025년 최신

by 춤추는 애벌레으로 2025. 5. 20.
반응형

미성년자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

 

 

“아이가 아르바이트 한다는데 계약서 꼭 써야 하나요?”

“딸이 방학 동안 알바를 한다는데, 준비해야 할 게 뭐가 있죠?”
“고등학생 고용해도 되나? 혹시 법에 걸리는 건 아닐까?”
자녀가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거나, 미성년자를 고용하려는 자영업자라면
**‘미성년자 근로계약서’**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1. 미성년자 근로계약서 핵심 체크포인트

✅ 근로계약서 필수 항목

  • 임금, 근로시간, 업무내용, 휴게시간 등 명시 필수
  • 서면 작성 필수, 말로만 한 계약은 무효
  • 고용주와 근로자 각각 1부씩 보관 (최소 3년)

✅ 법정대리인 동의 필요

  • 만 18세 미만 청소년은 반드시
    • 친권자(부모)의 동의서
    • 가족관계증명서 첨부해야 함
  • 형제, 친척 등은 대리 불가
  • 중학생(만 13~14세) 고용 시에는
    ▶️ 고용노동부의 취직인허가서 필요

✅ 근로시간 및 휴식시간 규정

  • 기본 근로: 1일 최대 7시간 / 주 35시간
  • 연장 근로: 하루 1시간, 주 5시간까지 추가 가능 (총 주 40시간)
  • 휴게시간:
    • 4시간 근무 시 최소 30분
    • 8시간 근무 시 최소 1시간
  • 야간·휴일 근무:
    ▶️ 22:00~06:00 원칙적 금지, 단 승인 시 예외 가능

2. 자주 묻는 질문 (FAQ)

Q. 계약서는 꼭 써야 하나요?
A. 무조건 써야 합니다. 안 쓰면 사업주는 500만원 이하 과태료 대상입니다.

 

Q. 부모님 말고 형제의 동의서도 되나요?
A. NO! 법정대리인만 가능. 반드시 부모님의 동의와 서명이 있어야 유효합니다.

 

Q. 청소년이 밤 10시 넘어서 일할 수 있나요?
A. 불가합니다. 단, 고용노동부 승인을 받고 청소년 본인이 동의한 경우 제한적으로 가능.

 

Q. 휴게시간 없이 계속 일시키면요?
A. 법 위반입니다. 사업주는 과태료 부과 대상이며, 미성년자의 건강에도 큰 무리가 갑니다.

연소근로자(미성년자)표준근로계약서 (1).hwp
0.06MB

3. 추천 팁: 실전 근로계약서 작성 요령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표준 근로계약서 양식 다운로드
✔️ 계약서 작성 전, 임금과 근무시간 합의서 미리 정리
✔️ 친권자 동의서와 가족관계증명서 반드시 첨부
✔️ 휴게시간, 지급일, 업무 내용까지 꼼꼼히 적기
✔️ 서면 2부 보관, 근로자에게도 1부 제공해야 법적으로 유효

4. 지금 바로 실천하세요!

📌 미성년자 근로계약서,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1. 임금, 근무 조건 명시된 계약서 반드시 서면 작성
  2. 부모 동의서 + 가족관계증명서 준비
  3. 근로시간, 휴게시간 지켜야 법적 문제 없음

자녀의 첫 근로,
혹은 청소년 고용을 계획 중이라면
지금 바로 미성년자 근로계약서 준비부터 시작하세요!

🔖 함께보면 좋은 글

 

2025 최신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 방법 및 주의사항 총정리

사업을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꼭 필요한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대출 신청, 정부 지원금 서류,계약 진행 시 자주 요구되는 문서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발급 방법과 주의사항을 모르면 불필요

auction-eer.com

 

장마철 안전수칙 30분만에 끝내는 셀프 체크리스트

2025년 장마는 6월 중순부터 본격 시작,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강수량 20% 이상 증가 예상!침수, 역류, 곰팡이로부터 우리 집을 지킬 수 있는“30분 셀프 점검 가이드”를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auction-eer.com

 

수의사가 알려주는 강아지 여름 건강 지키는 방법

“2025년 폭염 예상!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강아지 열사병 예방부터✔️ 피부 관리, 산책 시간, 여름 간식, 쿨매트 추천까지수의사와 함께하는 여름철 반려견 건강관리 A to Z!🌡️ 견종·

auction-eer.com

 

연차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완벽 정리 (2025년 최신판)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이자, 사업주의 의무입니다. 하지만 사업장 규모나 근로기간에 따라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이 달라 혼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퇴직 시 미사용 연차수당 정산

auction-eer.com